목록자료구조 복습 (4)
메모장

참고문헌 - 윤성우 ♨ 개인적 해석이 들어간 글임으로, 인지하지 못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Chapter 4. 연결 리스트(Linked List) 2 4-1.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Linked - 무엇을 연결하는가 연결 기반의 리스트, 줄여서 연결 리스트에서의 '연결'이 의미하는 바를 알기위해 예제를 보여주셨다 0이하의 숫자가 입력될때 까지, readCount가 10을 넘지 않을 때 까지(배열 arr의 크기가 10이므로) 반복 -> but! 그것이 배열의 단점 - 메모리의 특성이 정적이어서(길이의 변경이 불가능해서) 메모리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동적 메모리 구성'이 등장

참고문헌 - 윤성우 ♨ 개인적 해석이 들어간 글임으로, 인지하지 못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Chapter 3. 연결 리스트(Linked List) 1 3-1. 추상 자료형 : Abstract Data Type ▣ 자료구조에서의 추상 자료형 (Abstract Data Type) 추상 자료형, ADT(캡스 아님)는 구체적인 기능의 완성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능이 무엇인지 나열한 것을 의미한다 예) 지갑의 기능을 나열해보자면 - 카드의 삽입/추출 - 동전의 삽입/추출 - 지폐의 삽입/추출 위와 같이 기능이 이루어지는 과정(지폐를 넣기 위해서 지갑을 완전히 열고, 지폐를 넣는 공간에 지폐를 넣고 지갑을 닫는다)에 대한 언급 없이, 기능만 나열한 것 교재에서는 추상 자료형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참고문헌 - 윤성우 ♨ 개인적 해석이 들어간 글임으로, 인지하지 못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Chapter 2. 재귀(Recursion) 2-1. 함수의 재귀적 호출의 이해 ▣ 재귀함수의 기본적인 이해 재귀함수는 함수 내에서, 함수가 완료되기 전에 해당 함수를 다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의 서로 다른 복사본들이 호출되는 것이다 즉, 재귀함수가 처음 호출될 때부터 당사자가 아닌 복사본을 호출하는 것이다 함수를 구성하는 명령문은 CPU로 이동되어(복사가 되어서) 실행이 된다 그런데 이 명령문은 얼마든지 CPU로 이동(복사) 가능하다 따라서 재귀 함수의 중간쯤에 위치한 명령문을 실행하다가(재귀함수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동일한 이름의 재귀함수의 앞 부분에 위치한 명령문을 CPU로 이동시킬 수..

참고문헌 - 윤성우 ♨ 개인적 해석이 들어간 글임으로, 인지하지 못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Chapter 1.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 1-1. 자료구조(Data Structure)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자료구조란 무엇인가 - 프로그램이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그렇게 표현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 -> 이때 데이터의 표현은 데이터의 저장을 포함하는 개념 이 데이터의 저장 = 자료구조 되시겠다. 즉, 넓은 범위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표현하는 방법은 자료구조의 일종이다 예) 정수를 저장하기 위해 int형 변수를 선언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조체를 정의 - 자료구조의 분류 선형구조 : 리스트, 스택, 큐 비선형구조 : 트리, 그래프 파일구조 : 순차파일, 색인파일, 직접파일 단순구조 : 정수, ..